본문 바로가기
IT

이클립스(Eclipse) 완벽 기초 가이드 – UI 이해부터 프로젝트 실행, 퍼스펙티브 활용까지!

by 굿센스굿 2025. 5. 8.
반응형

 

개발을 처음 시작하는 입장에서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이클립스(Eclipse)**입니다. 특히 **자바(Java)**를 배우거나 사용하는 경우, 이클립스는 가장 널리 쓰이는 통합 개발 환경(IDE)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클립스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기본 UI 구성, 프로젝트와 패키지, 클래스 생성 방법, 그리고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는 **퍼스펙티브(Perspective)**의 개념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실제로 화면 캡처와 함께 설명드리기 때문에, 개발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어도 충분히 따라오실 수 있어요!


✅ 이클립스란?

이클립스(Eclipse)는 IBM이 시작하고 현재는 다양한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의해 관리되는 **자바 기반의 통합 개발 환경(IDE)**입니다. 자바 개발에 특화되어 있지만, 플러그인을 통해 C/C++, Python 등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며, 특히 플러그인 구조로 매우 유연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이클립스 UI 기본 구성 이해하기

이클립스를 처음 실행하면 다양한 창이 배치된 화면이 보입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이클립스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첫걸음입니다. 주요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패키지 탐색기 (Package Explorer)

이 영역은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와 그 안에 포함된 소스 코드 파일들을 트리 구조로 보여줍니다.
여기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패키지, 클래스 등을 만들 수 있으며, 파일 간 이동도 이곳에서 쉽게 할 수 있습니다.

2. 코딩 영역 (Editor)

코드를 작성하는 메인 화면입니다.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이 영역에 열리고, 자바 소스 파일은 .java 확장자를 가집니다.
작성한 코드는 여기서 저장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콘솔 창 (Console)

실행 결과나 로그가 출력되는 곳입니다. System.out.println() 같은 코드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창이죠.

4. 아웃라인 (Outline)

현재 열려 있는 자바 파일의 클래스, 메서드, 변수 등의 구조를 트리 형태로 보여주는 창입니다.
복잡한 클래스 파일을 탐색하거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때 유용합니다.


📁 이클립스에서 자바 프로젝트 만들기

이제 직접 프로젝트를 생성해보며 실습을 진행해보겠습니다.

▶️ 1. 자바 프로젝트 생성하기

  1. 좌측 패키지 탐색기에서 우클릭 → New > Java Project 클릭
  2. 프로젝트 이름 입력 (예: MyFirstProject)
  3. "Use default location" 항목은 기본 체크 상태로 두면, 이클립스 워크스페이스에 저장됩니다.
  4. Finish 버튼 클릭!

이제 새 프로젝트가 생성되며, src 폴더가 자동으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패키지(Package) 생성하기

자바에서 패키지는 비슷한 역할의 클래스들을 그룹화해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마치 윈도우에서 폴더를 만들어 파일을 정리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에요.

▶️ 2. 패키지 만들기

  1. src 폴더에서 우클릭 → New > Package
  2. 원하는 패키지명 입력 (예: test)
  3. Finish 클릭

패키지가 생성되면, 그 아래에 클래스들을 생성할 수 있게 됩니다.


🔤 클래스(Class) 생성하기

클래스는 자바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입니다. 실습을 위해 간단한 Hello 클래스 파일을 만들어보겠습니다.

▶️ 3. 클래스 만들기

  1. 방금 만든 test 패키지에서 우클릭 → New > Class
  2. 클래스 이름 입력: Hello
  3.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체크하면 자동으로 main 메서드도 생성됩니다.
  4. Finish 클릭

💡 Hello World 프로그램 작성 및 실행

코드 작성은 아래와 같이 간단합니다.

package test;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이제 작성한 코드를 실행해보겠습니다.

▶️ 4. 실행하기

  1. 코드 창 상단의 초록색 재생 버튼 클릭 (또는 단축키 Ctrl + F11)
  2. 팝업 창이 뜨면 OK 클릭
  3. 콘솔 창에 Hello, world!라는 결과가 출력되면 성공입니다!

🌈 퍼스펙티브(Perspective) 이해하기

이클립스는 다양한 개발 언어 및 도구에 맞춰 화면 구성을 **퍼스펙티브(Perspective)**라는 단위로 나누어 제공합니다. 퍼스펙티브는 특정 개발 목적에 최적화된 뷰(View)들의 조합이라고 보면 됩니다.

▶️ 퍼스펙티브 주요 개념

  • 퍼스펙티브는 작업 환경의 템플릿입니다.
  • 자바 개발, Git 연동, 디버깅 등 상황에 따라 필요한 뷰들이 자동으로 구성됩니다.
  • 예를 들어, Git 퍼스펙티브를 열면 Git 레포지토리, 브랜치 정보, 변경 내역 등이 표시됩니다.

🛠 퍼스펙티브 실행 방법

▶️ 5. 퍼스펙티브 열기

  1. 이클립스 상단 오른쪽의 Open Perspective (아이콘 모양) 클릭
  2. Other... 선택 후 원하는 퍼스펙티브 선택 (예: Git)
  3. 화면 구성이 자동으로 변경되며, 각 뷰가 퍼스펙티브에 맞게 재배치됩니다

퍼스펙티브는 언제든지 전환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최적의 개발 환경을 빠르게 셋업할 수 있습니다.


🧩 퍼스펙티브 활용 팁

  •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할 때 퍼스펙티브 전환을 통해 빠른 전환이 가능합니다.
  • Git 퍼스펙티브에서는 코드 변경 이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협업에 매우 유리합니다.
  • 디버그 퍼스펙티브는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변수 확인, 스텝 인/아웃 기능 등 디버깅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이클립스를 능숙하게 다루는 것은 자바 개발에서 아주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클립스의 기본 UI, 프로젝트 생성부터 실행, 퍼스펙티브 개념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렸습니다.

정리하자면:

  • 이클립스는 구조가 직관적이지만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필요합니다.
  • 프로젝트, 패키지, 클래스의 생성 순서를 반복하며 익히세요.
  • 퍼스펙티브는 이클립스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꼭 숙지해두어야 합니다.

앞으로도 Git 연동, 디버깅, 플러그인 활용 등 이클립스의 다양한 고급 기능들을 다룰 예정이니 관심 있게 지켜봐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