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경제

아기 터미타임(Tummy Time), 언제부터 얼마나 해야 할까? 효과적인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총정리!

by 굿센스굿 2025. 7. 20.
반응형

 

✅ 터미타임이란?

터미타임(Tummy Time)은 말 그대로 아기를 배(=tummy)를 바닥에 대고 엎드리게 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아직 스스로 자세를 바꾸기 어려운 신생아기~영아기 아기들에게 중요한 운동의 하나로, 간단하지만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자극을 줄 수 있는 활동입니다.

일상적으로는 누워서 생활하는 시간이 대부분인 신생아 시기, 일정 시간 엎드린 자세를 만들어 줌으로써 아기의 대근육 발달, 두상 관리, 수면의 질 향상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최근에는 국내외 소아 전문가들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 터미타임을 해야 하는 이유 (효과)

단순히 ‘놀아주는 시간’이 아니라, 터미타임은 아기의 성장에 꼭 필요한 운동 중 하나입니다. 구체적인 이유를 하나씩 살펴볼까요?

1. 대근육 발달 촉진

아기의 성장 과정은 목 가누기 → 뒤집기 → 앉기 → 서기 → 걷기로 이어지는데, 이 모든 단계의 핵심은 바로 **대근육(등과 허리, 어깨, 엉덩이 근육)**의 발달입니다.

터미타임을 통해 아기는 엎드린 자세에서 목을 들고, 몸을 움직이려 시도하면서 자연스럽게 등과 어깨, 목 뒤쪽의 근육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면서 대근육이 강화되고, 자연스럽게 다음 발달 단계로 이어질 수 있게 돕는 것이죠.

2. 두상 관리

신생아의 두개골은 매우 유연해서 한쪽으로만 계속 눌리게 되면 **사두증(머리 납작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아기가 늘 누운 자세로만 있으면 머리 모양이 틀어지거나 납작해질 위험이 크기 때문에, 엎드린 자세로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주는 터미타임은 두상 관리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3. 수면의 질 향상

하루 대부분을 자는 신생아라 하더라도 에너지를 발산할 시간이 부족하면 수면 패턴에 문제가 생기거나 깊은 잠을 못 자는 경우가 있습니다. 터미타임은 짧은 시간이라도 아기에게 적절한 피로를 유도하고 숙면을 돕는 자연스러운 루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낮잠을 너무 짧게 자거나, 밤에 자주 깨는 아기라면 터미타임을 꾸준히 시도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언제부터 시작해야 할까?

많은 부모님들이 "신생아에게 이런 걸 해도 되나?" 싶어 주저하시는데요, 사실 건강한 만삭아라면 생후 2주부터 천천히 터미타임을 시작해도 무방합니다.

물론 처음부터 오래 할 필요는 없고, 아이의 상태에 따라 하루에 몇 초 정도부터 시작해 천천히 늘려가면 됩니다.

TIP. 생후 1주2주 무렵부터 짧게 도입 가능, 12개월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경우가 많아요!


⏱️ 하루 권장 시간은?

터미타임은 단순히 ‘몇 분 이상 해야 한다’는 절대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중요한 건 아기의 컨디션과 반응을 보며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입니다.

🔸 초기(생후 2주~1개월)

  • 하루 총 1~2분 정도
  • 한 번에 30초~1분 내외, 2~3회로 나눠서 시도

🔸 중기(생후 1~3개월)

  • 하루 총 5~10분
  • 아기가 목에 점점 힘을 주기 시작하는 시기
  • 아기가 즐거워하거나 버티는 시간이 늘어날 때까지 관찰하면서 시도

🔸 후기(생후 3~6개월)

  • 하루 15~20분 이상도 가능
  • 스스로 고개를 들거나, 팔을 뻗는 행동이 잦아짐
  • 이 시기부터는 놀이나 자극을 통해 시간을 더 늘리는 것도 추천

💡 “처음부터 오래 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중요한 건 아기의 리듬과 컨디션에 맞춰 ‘즐겁게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 터미타임 시도 타이밍은?

가장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수유 직후에 터미타임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수유 후 바로 엎드리게 하면 토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소화 시간이 지난 뒤에 시도해야 합니다.

✅ 좋은 타이밍 추천

  • 기저귀를 갈고 난 직후
  • 아기가 깨서 활발해 보일 때
  • 잠들기 전 낮 활동 시간 중간

🛠️ 효과적인 터미타임 방법

처음부터 바닥에 놓고 시도하면 대부분의 아기들이 머리를 바닥에 대고 울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단계적으로 도와주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1. 엄마 아빠 가슴 위에서 시작하기

  • 앉은 자세로 아기를 가슴 위에 엎드립니다.
  • 살짝 몸을 뒤로 젖혀 경사를 만들어주면 아기가 목을 들기 쉬워집니다.
  • 부모의 심장소리와 온기를 느끼며 안정감을 주기에 가장 초보자에게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2. 수건이나 터미타임 베개 활용

  • 수건을 돌돌 말아 겨드랑이 아래에 받쳐줍니다.
  • 전용 터미타임 쿠션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 아기가 고개를 들기 쉽게 서포트되는 형태이므로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적응할 수 있어요.

3. 아무것도 없이 맨바닥에

  • 익숙해지고 목에 힘이 생겼을 때는 보조 도구 없이 맨바닥에서 시도
  • 아기의 앞에 거울, 밝은 색 장난감, 소리 나는 책 등을 놓아 흥미를 유도

⚠️ 터미타임 시 주의사항

터미타임은 좋은 운동이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포인트를 반드시 체크해 주세요.

❌ 너무 푹신한 바닥은 금물

  • 폭신한 매트나 침대는 입과 코가 막힐 위험이 있습니다.
  • 바닥은 딱딱하지만 쿠션감 있는 놀이 매트 정도가 적당합니다.

👀 절대 눈을 떼지 마세요

  • 엎드린 아기는 자칫하면 얼굴을 바닥에 박고 질식할 수 있습니다.
  • 항상 보호자가 지켜보는 상태에서만 시도해야 합니다.

⏳ 무리하지 않기

  • 아기가 울거나 거부하면 즉시 중단하세요.
  • 억지로 시간을 채우기보다 짧게 자주 반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결론: 터미타임, 꼭 해야 할까?

터미타임은 아기의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에서 꼭 필요한 발달 활동 중 하나입니다. 물론 모든 아기가 정해진 시기에 목을 가누고, 뒤집고, 걷게 되겠지만, 터미타임을 통해 보다 건강한 성장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다면 시도해볼 가치가 충분히 있습니다.

무조건 많이, 오래 한다고 좋은 건 아닙니다. 하루 30초부터 차근차근 시작해보세요. 아이가 웃고 즐거워하는 모습이 보인다면, 부모로서도 큰 보람을 느끼게 될 거예요.


📌 요약 정리

항목 내용

시작 시기 생후 1~2주부터 가능
하루 권장 시간 초기 12분 → 후기 1520분
좋은 타이밍 기저귀 교체 후, 낮 활동 시간
좋은 방법 가슴 위, 수건 보조, 맨바닥 차례대로
주의사항 푹신한 바닥 금지, 수유 직후 금지, 보호자 동반 필수

아기와 함께하는 매일이 특별한 만큼, 터미타임도 즐거운 추억으로 남길 수 있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나 경험 공유는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