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경제

클라우드 컴퓨팅 완전 정복: 개념부터 IaaS, PaaS, SaaS 종류 비교까지

by 굿센스굿 2025. 7. 23.
반응형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 IT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빌려 사용하는 서비스 방식을 의미합니다.
예전에는 웹사이트 하나 만들기 위해서도 물리적인 서버를 직접 구매하고, IDC에 설치하고, 네트워크 설정을 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죠.
하지만 지금은?
👉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GCP) 등에서
웹 브라우저로 클릭 몇 번이면 서버를 생성하고 웹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의 핵심 개념은 ‘소유’가 아닌 ‘임대’

  • ✔️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
  • ✔️ 서버 및 인프라 유지보수 불필요
  • ✔️ 트래픽 증가 시 자동 확장 가능 (Auto Scaling)
  • ✔️ 글로벌 서비스 배포도 클릭 몇 번이면 가능

덕분에 스타트업부터 글로벌 대기업까지 모두 클라우드 중심으로 시스템을 전환하고 있습니다.


☁️ 클라우드 컴퓨팅의 3대 서비스 모델: IaaS, PaaS, SaaS

클라우드 서비스는 제공 방식에 따라 크게 IaaS, PaaS, SaaS로 나뉘며, 각 모델마다 관리 책임 범위와 사용 목적이 다릅니다.
구분 명칭 설명 대표 예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인프라만 제공, 설정은 사용자가AWS EC2, Azure VM
PaaSPlatform as a Service실행 환경 제공, 코드만 올리면 실행Heroku, Google App Engine
SaaSSoftware as a Service완성형 소프트웨어 제공Gmail, Notion, Slack

☁️ 1. IaaS (인프라형 서비스)

“서버부터 내가 설정할게. 대신 물리 장비는 빌릴게.”

IaaS는 서버, 네트워크, 저장소 등 인프라 자원만 클라우드에서 제공하고
운영체제 설치, 보안 설정,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은 모두 사용자의 몫입니다.

주요 특징

  • ✔️ 운영체제부터 애플리케이션까지 전부 직접 설치 가능
  • ✔️ 가장 높은 자유도와 유연성
  • ✔️ 대신, 관리할 것도 많고 유지보수도 직접 해야 함

대표 서비스

  • 🖥️ AWS EC2
  • 🖥️ Google Compute Engine (GCE)
  • 🖥️ Microsoft Azure Virtual Machines

이런 분께 적합!

  • 백엔드 개발자, 시스템 엔지니어
  • 인프라를 직접 제어하고 싶은 DevOps 팀
  • 대규모 트래픽 대응 및 자동화 배포 환경을 구성하려는 기업

☁️ 2. PaaS (플랫폼형 서비스)

“코드만 올리면 실행되게 해줘! 서버 관리하기 싫어.”

PaaS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모든 플랫폼 환경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해 줍니다.
개발자는 서버 설정 없이 코드만 업로드하면 바로 앱이 실행됩니다.

주요 특징

  • ✔️ 서버·DB·네트워크 관리 불필요
  • ✔️ 빠른 배포 및 자동 확장
  • ✔️ 단, 환경 설정이나 커스터마이징은 제한적

대표 서비스

  • 🧩 Heroku
  • 🧩 Google App Engine
  • 🧩 Firebase Hosting
  • 🧩 Vercel, Netlify

이런 분께 적합!

  • MVP를 빠르게 만들고 싶은 스타트업
  • 서버보다 서비스 기능 개발에 집중하고 싶은 개발자
  • 사이드 프로젝트 개발자, 프런트엔드 개발자

☁️ 3. SaaS (소프트웨어형 서비스)

“그냥 로그인하고 바로 쓸게요. 설치도 필요 없어요.”

SaaS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완성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사용자는 회원가입 후 로그인만 하면 바로 사용 가능하며, 설치나 유지보수 걱정이 없습니다.

주요 특징

  • ✔️ 설치 불필요, 언제 어디서든 사용 가능
  • ✔️ 업데이트, 보안 패치 자동
  • ✔️ 인터페이스 친화적, 협업 기능 강력

대표 서비스

  • ✉️ Gmail, Outlook
  • 📋 Notion, Evernote
  • 🎧 Zoom, Microsoft Teams
  • 📦 Dropbox, Google Drive
  • 📊 Salesforce, Hubspot, Canva

이런 분께 적합!

  • 기업의 마케팅/영업팀, 일반 사용자
  • 업무용 협업툴, CRM, 메일 설루션을 필요로 하는 팀
  • 유지보수 없이 빠르게 도입하고 싶은 스타트업

📊 한눈에 비교: IaaS vs PaaS vs SaaS

항목 IaaS PaaS SaaS

인프라 접근권한있음제한적없음
사용자 제어 범위매우 넓음코드 중심매우 제한적
커스터마이징가능일부 가능불가
유지보수직접 해야 함클라우드 업체가 대부분 관리자동으로 관리됨
적합 대상시스템 관리자, DevOps개발자, 스타트업마케터, 일반 사용자

👀 어떤 상황에 어떤 모델이 적합할까?

상황 추천 모델

빠르게 MVP 만들고 싶다✅ PaaS (Heroku, Firebase)
인프라를 세밀하게 제어하고 싶다✅ IaaS (AWS EC2 등)
협업툴, 메일, CRM 등 바로 쓰고 싶다✅ SaaS (Notion, Zoom)
트래픽 급증에 대응하고 싶다✅ IaaS + 오토스케일
서버 관리 부담을 줄이고 싶다✅ PaaS or SaaS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트렌드

1. 서버리스(Serverless)

  • 개발자는 코드(함수)만 작성
  • 서버 인프라는 전혀 신경 쓰지 않아도 됨
  • 사용한 만큼 과금됨
  • 📍 대표 예시: AWS Lambda, Google Cloud Functions

2. 멀티 클라우드 전략

  • 하나의 클라우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 AWS + GCP + Azure 등 분산 사용
  • 장애 대응, 비용 최적화, 유연성 확보 가능

3.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CSPM)

  • 클라우드 사용량 증가 → 보안 중요성 ↑
  • 클라우드 설정 오류나 침입 탐지를 위한 자동화 보안 설루션
  • 📍 대표 예시: Prisma Cloud, Orca Security 등

4.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 네이버클라우드, KT Cloud, NHN Cloud 등도 기능 강화 중
  • 공공기관 및 국내 기업 대상 클라우드 전환 가속화

🧾 요약! 클라우드 컴퓨팅 완벽 정리

구분 설명

클라우드란?IT 자원을 인터넷으로 임대하여 사용하는 서비스 모델
IaaS인프라만 제공, 모든 설정은 사용자가 직접
PaaS실행환경 제공, 코드만 업로드하면 바로 실행 가능
SaaS완성된 소프트웨어를 바로 사용하는 방식
선택 기준사용 목적, 개발 자유도, 유지보수 부담에 따라 선택

💬 마무리: 클라우드를 잘 활용하면?

  • ✅ 개발 속도는 비약적으로 향상
  • ✅ 초기 비용 부담은 크게 줄어듦
  • ✅ 유지보수와 확장성 측면에서 압도적인 효율성 제공

지금은 누구나 손쉽게 IT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시대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종류만 정확히 이해한다면,
여러분의 업무, 개발, 기획, 마케팅까지 훨씬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