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신생아 특별공급 조건 및 소득 기준 완벽 정리

by 굿센스굿 2025. 3. 19.
반응형

신생아 특별공급이란?

최근 청약 시장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고 있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신생아 특별공급입니다. 특히 출산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 신혼부부 및 출산 가구의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로, 시행 초기부터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 특별공급의 조건과 소득 기준, 그리고 기타 유의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특별공급 제도 개요

신생아 특별공급은 2세 이하 자녀를 둔 무주택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청약 제도입니다. 즉, 신혼부부가 아닌 가구는 신청할 수 없으며, 출생 또는 입양을 통해 자녀가 생긴 경우에만 신청 가능합니다.

정부는 출산 가구 대상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하면서, 신생아 특별공급의 우선 공급 비율을 크게 확대하였습니다.

신생아 특별공급 주요 내용

  • 민간분양: 신생아 우선 공급 비율을 기존 20%에서 35%로 확대
  • 공공분양: 기존 일반 공급 물량 내 신생아 우선 공급을 신설(50%)
  • 기존에는 생애최초 특별공급에서만 신청 가능했던 신혼부부가 이제는 신생아 특별공급, 다자녀 특별공급(2자녀 이상)까지 신청 가능하도록 선택지가 확장됨

신생아 특별공급 조건

신생아 특별공급은 크게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으로 나뉘며, 각각의 조건이 조금씩 다릅니다.

✅ 공공분양 신생아 특별공급 조건

공공분양에서 신생아 특별공급은 우선공급(70%), 잔여공급(20%), **추첨제(10%)**로 진행됩니다.

1) 기본 자격 요건

  • 2세 미만 자녀를 둔 가구 (입양 포함)
  • 입주자 모집공고일 기준 무주택자
  • 주택청약저축 가입 후 6개월 이상, 월 납입 횟수 6회 이상

2)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기준)

가구 수 소득 100% (외벌이) 소득 120% (맞벌이)

3인 이하 7,004,509원 8,405,411원
4인 가구 8,248,467원 9,898,160원
5인 가구 8,775,071원 10,530,085원

📌 Tip: 2023년 3월 28일 이후 출산한 자녀가 1명인 경우 소득 기준 10% 완화, 2명 이상인 경우 20% 완화됩니다.

3) 자산 기준

  • 부동산: 2억 1,550만 원 이하
  • 자동차: 3,708만 원 이하

✅ 신생아 특별공급 소득 조건

신생아 특별공급은 소득 구간에 따라 신청 가능한 공급 유형이 달라집니다.

공급 유형 소득 기준 (외벌이) 소득 기준 (맞벌이)

우선공급(70%) 100% 이하 120% 이하
잔여공급(20%) 140% 이하 150% 이하
추첨제(10%) 140% 이하 200% 이하

신생아 특별공급 배점 기준

신생아 특별공급은 단순히 소득과 자녀 조건을 충족한다고 해서 당첨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배점제가 적용되며, 다음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수록 당첨 확률이 높아집니다.

✅ 배점 기준 주요 요소

  • 가구 소득 수준 (소득이 낮을수록 유리)
  • 미성년 자녀 수 (자녀가 많을수록 유리)
  • 해당 지역 거주 기간 (거주 기간이 길수록 유리)
  • 주택청약저축 납입 횟수 (납입 횟수가 많을수록 유리)

📌 LH 공공분양 기준을 따르므로, 세부 사항은 입주자 모집공고문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2025년 신생아 특별공급 전망

정부는 2025년에도 신생아 특별공급을 적극 확대할 예정입니다.

  • 공공주택 공급: 역대 최대 규모인 25만 2,000호
  • 3기 신도시 청약 확대: 8,000호 포함, 총 2만 8,000호 청약 예정
  • 출산 가구 청약 기회 확대: 생애최초 특별공급과 신생아 특별공급을 동시에 신청 가능하도록 정책 개선

따라서 2025년 내집 마련을 계획하는 신혼부부라면 적극적으로 청약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치는 글

신생아 특별공급은 출산 가구를 위한 특별한 주택 청약 기회로, 기존보다 훨씬 넓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2세 미만 자녀를 둔 신혼부부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제도이며, 특히 소득 기준과 자산 기준을 맞춘다면 높은 우선순위를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 또한 2025년 정부의 공공주택 공급이 역대 최대 규모로 확대되면서 청약 기회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생애최초 특별공급, 다자녀 특별공급과 중복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옵션을 검토해 가장 유리한 선택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글이 신생아 특별공급 청약을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내집 마련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좋은 소식이 있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