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중국 철학의 거장 장자의 삶과 사상

by 굿센스굿 2023. 12. 14.
반응형

중국 철학은 오랜 역사와 다양한 학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가의 시조는 노자(老子)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저서인 [도덕경]은 중국 철학의 근본 서로 여겨집니다.

그중에서도 도가(道家)는 중국 철학의 대표적인 학파입니다. 도(道)라는 근본 원리를 중심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했습니다.

장자는 노자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적인 철학을 발전시켰습니다.

하지만 도가의 사상을 완성한 인물은 노자가 아니라 장자(莊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자의 사상은 중국 철학뿐만 아니라 동서양의 문화와 예술에도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장자의 사상은 그의 저서인 [장자]에 담겨 있습니다. 이 책은 도교의 경전으로도 삼아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자의 삶과 사상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장자의 삶

그의 출생지는 송(宋)나라 몽(蒙)이라고 하는데, 이는 현재의 안후이성 농성 또는 허난성 항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자의 본명은 주(周)입니다. 기원전 369년부터 기원전 286년 사이에 살았다고 추정됩니다.

장자는 여러 나라를 방문하면서 다른 유학자들과 토론하고, 그의 사상을 전파했습니다.

장자는 송나라의 관리였으나, 정치에 관심이 없었고, 철학을 연구하고 강연하는 일에 전념했습니다.

[장자]는 [남화진경(南華眞經)]이라고도 불리며, 도교의 성경 중 하나로 인정받습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황건적의 지도자 장 각에 도를 전수하는 선인이 바로 남화노선(장자)이라고 소개됩니다.

장자는 노자와 함께 부를 때 노장(老莊)이라고 불리며, 도교에서는 남화진인(南華眞人) 또는 남화노선(南華老仙)이라고 존중의 뜻으로 부릅니다.

장자의 사상

장자는 도가 만물의 근원이자 원리라고 하면서도,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고,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장자의 사상은 노자의 사상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그보다 더 깊이 있고 폭넓게 펼쳐집니다. 따라서 장자는 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비유나 우화, 역설 등을 통해 도의 본질을 암시하려고 했습니다.

그는 인간과 자연, 생명과 죽음, 미와 추, 옳고 그름 등의 구분을 상대적이고 인위적인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는 이러한 구분을 넘어서는 대존(大存)이나 대동(大同)이라는 이상적인 상태를 지향했습니다.

장자는 만물 일원론을 주창했습니다. 그는 만물이 도에 의해 변화하고, 상호 작용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봤습니다.

그는 인간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고 하면서도, 인간의 본성은 자유롭고 즐거운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장자는 자유와 평화를 중시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본성을 억압하거나 왜곡하는 것을 비판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자신의 본심에 따라 살아가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평화롭고 쾌적한 삶을 누리는 것을 권장했습니다.

그는 유학자들이 말하는 도덕적 가르침이나 인위적인 제도, 권력이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거부했습니다.

그는 인간의 인식이나 판단이 객관적이고 확실한 것이 아니라, 주관적이고 상대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장자는 상대주의와 스켑티시즘을 표현했습니다. 그는 인간이 자신의 관점이나 편견을 깨뜨리고, 다른 존재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유명한 '나비의 꿈'이라는 우화를 통해, 인간이 꿈과 현실, 자신과 타자, 인간과 동물 등의 구분을 명확히 할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장자의 인생론: 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을 위한 도의 실천

장자의 사상은 동서양의 다양한 철학과 문화에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에도 적용되고 해석되고 있습니다.

중국 철학의 거장 장자는 도가의 사상을 완성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장자의 사상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 자유와 평화, 상대주의와 스켑티시즘 등의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장자의 인생론이란, 장자가 주장한 이상적인 삶의 방식과 목표를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장자의 인생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장자의 인생론은 그의 저서인 [장자]에 담겨 있으며, 이 책은 도교의 경전으로도 삼아집니다.

장자의 이상적인 삶: 허점과 연담

그는 인간이 자기 육체와 정신, 즉 자기의 존재를 중요하게 여기고, 이를 위해 노력하고 경쟁하면서 근심의 근원을 만들어낸다고 비판했습니다.

장자는 인간의 삶이 근심과 고통으로 가득하다고 인식했습니다. 장자는 인간이 자기 육체와 정신을 버리고, 도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도는 말로 표현할 수 없고,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장자는 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비유나 우화, 역설 등을 통해 도의 본질을 암시하려고 했습니다.

장자가 말하는 노란, 만물의 근원이자 원리입니다.

허점이란, 자기 육체와 정신을 비우고, 도에 맡기는 것입니다.

장자는 도에 따라 살아가는 삶을 '허점'(虛靜)과 '연담'(恬淡)이라는 두 가지 심경으로 표현했습니다. 염 담이란, 자신의 욕망과 감정을 달래고, 도에 안주하는 것입니다.

장자는 이러한 심경을 갖춘 사람이 자연의 법칙에 따르고, 어떠한 것에도 침해받지 않는 자유와 독립을 얻을 수 있다고 봤습니다.

장자는 이러한 삶을 실현한 사람을 '진인'(眞人) 이라고 부르며, 이 인생론의 근본에는 세계는 불가지의 실재인 도의 표상이라는 세계관과, 개념적 인식과 가치판단은 불가능할 뿐 아니라 무의미한 것이고, 철저한 무지만 올바른 것이라고 하는 지식론이 깔려 있습니다.

장자의 지식론: 명가와 전변의 비판

명가는 이름과 실재의 관계에 대해 논한 학파로, 이름은 실재를 표현하거나 규정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장자의 지식론은 명가(名家)와 전변(田騈)의 비판적 섭취에서 성립했습니다. 전변은 장자의 제자로, 모든 것이 동등하고 상대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장자는 이름은 실재를 완전히 표현하거나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도구라고 봤습니다.

장자는 명가와 전변의 사상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의 극단적인 주장을 비판했습니다. 장자는 모든 것이 동등하고 상대적이라고 하면서도, 도가 만물의 근원이고 원리라고 봤습니다.

장자는 이러한 지식론을 바탕으로, 세계의 존재와 운동은 도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는 존재론, 우주 생성의 전설을 받아들여 태초의 '혼돈'='도'로부터 세계가 유출하였다고 하는 우주생성론 및 음양오행설을 채용하여 물(物)의 생사(生死)를 기(氣)의 집산으로 설명한 자연론 등을 전개했습니다.

결론

장자는 인간이 자기 육체와 정신을 버리고, 허점과 염 담의 심경으로 도에 따라 살아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장자의 인생론은 자유롭고 평화로운 삶을 위한 도의 실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자의 인생론은 그의 세계관과 지식론에 근거하며, 도가 만물의 근원이자 원리라고 봤습니다.

장자의 사상은 동서양의 다양한 철학과 문화에 영향을 끼쳤으며, 현대에도 적용되고 해석되고 있습니다.

장자는 중국 철학의 거장으로, 도가의 사상을 완성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장자의 사상은 인간과 자연의 조화, 자유와 평화, 상대주의와 스켑티시즘 등의 키워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