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년 여름이면 잊을 수 없는 세금, 바로 재산세가 찾아옵니다. 특히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납부가 진행되다 보니 헷갈리기 쉬운데요. 오늘은 2025년 재산세 납부 기간, 대상, 가산세 주의사항, 납부 방법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해 드릴게요.
재산세란 무엇인가?
재산세는 지방세의 한 종류로, 토지·주택·건축물·선박·항공기 등 특정 재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 과세 기준일: 매년 6월 1일
- 이 시점에 소유자로 등재된 사람에게 납세 의무 발생
- 예: 6월 2일에 주택을 매매했다면, 6월 1일 기준의 기존 소유자가 재산세를 납부
즉, 재산을 소유한 시점이 중요하다는 점 꼭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2025년 재산세 납부 기간
재산세는 매년 두 번으로 나누어 고지됩니다.
- 1차 (7월 16일 ~ 7월 31일)
- 주택분 재산세 절반(1/2)
- 건축물, 선박, 항공기
- 2차 (9월 16일 ~ 9월 30일)
- 나머지 주택분 재산세 절반(1/2)
- 토지
👉 단, 주택분 재산세가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에 전액 납부해야 하므로 반드시 고지서를 확인하세요.
재산세 납부 방법
과거에는 은행 창구를 직접 방문해야 했지만, 지금은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해 훨씬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위택스(WETAX): www.wetax.go.kr
- 정부24: www.gov.kr
- 인터넷 지로 납부
- 은행 앱을 통한 모바일 간편 납부
- 지방자치단체 세무과 방문 납부
특히 스마트폰 앱으로도 바로 납부 가능해져 집에서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가산세 주의사항
납부 기한을 넘기면 불이익이 발생합니다.
- 3% 가산세 부과
- 일정 금액 이상 체납 시 매월 0.75% 중가산금 추가
- 장기 체납 시 압류 등 불이익 발생
따라서 반드시 정해진 기간 안에 납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재산세는 매년 반복되지만, 납부 금액과 시기는 본인의 재산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7월과 9월 두 번의 납부 기간을 꼭 기억하시고, 헷갈린다면 위택스나 정부24에서 직접 조회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참고 링크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상생페이백 환급 신청 총정리 (1) | 2025.09.13 |
---|---|
2025년 저신용자를 위한 정부지원 서민대출 완벽 가이드 (1) | 2025.09.13 |
2025년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실익 계산과 준비 서류 총정리 (2) | 2025.09.13 |
2025년 파산자 긴급자금대출 조건과 승인 절차, 실제 사례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9.13 |
블로그스팟에 MS Clarity 설치 및 활용 가이드 (0) | 2025.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