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1034

해시(Hash)란? 해시 값의 개념, 특징, 활용 예시까지 한 번에 정리! 1. 💡 해시(Hash)란 무엇인가요?해시란 '어떤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암호화된 값으로 변환하는 처리 방식'입니다.쉽게 말하면, 어떤 입력값(예: 문자열, 파일, 숫자 등)을 받아서 그 내용을 압축하고 요약하여 일정한 길이의 고유한 값으로 변환하는 기술이에요. 이 변환된 결과를 '해시 값(Hash Value)'이라고 부릅니다.예를 들어,"banana123" → 해시 함수 → e4d909c290d0fb1ca068ffaddf22cbd0중요한 점은 이 해시 값을 가지고는 절대 원래 값을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해시의 핵심!2. 🔍 암호화와 해시의 차이헷갈리기 쉬운 개념, 암호화 vs. 해시구분 암호화 해시복호화 가능O (원래대로 복원 가능)✕ (복원 불가능, 일방향)사용 목적데이터 보호/.. 2025. 7. 25.
React에서 의존성 주입(DI)을 실용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Context API vs Custom Hook 패턴 완전 정복 🔍 의존성 주입(DI)이란 무엇인가요?**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이하 DI)**은 어떤 객체가 필요한 의존 객체를 스스로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주입받는 설계 패턴입니다. 대표적으로 Java의 Spring Framework에서 많이 사용되며, 제어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 IoC) 원칙을 따릅니다.✅ DI를 사용하면 얻을 수 있는 이점결합도 감소: 객체 간의 연결을 약하게 유지해 유연한 구조 설계 가능테스트 용이성: 테스트 시 모킹(mocking) 처리하기 쉬움확장성: 구현체 교체가 자유로워짐하지만, React는 전통적인 클래스 기반 프레임워크가 아닙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React에서 DI가 필요할까?”라는 질문이 나옵니다.⚛️ React에서도 의.. 2025. 7. 25.
리액트(React)란? 뜻과 개념부터 오해까지, 프레임워크가 아닌 이유 📌 React는 프레임워크가 아닙니다 — 라이브러리입니다먼저 가장 많이 오해하는 부분부터 짚고 가겠습니다.React는 프레임워크가 아닙니다.정확히 말하면 **"UI(User Interface) 라이브러리"**입니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구분 프레임워크 (Framework) 라이브러리 (Library)정의전체 프로그램 구조와 흐름을 주도함특정 기능만을 수행하는 모듈특징내가 프레임워크의 규칙을 따라야 함내가 필요한 기능만 골라 씀예시Angular, SpringReact, LodashReact는 웹사이트나 앱에서 **"화면을 구성하고 그리는 부분"**만 담당합니다.라우팅(페이지 이동), 상태 관리, 서버와의 연결 같은 기능은 React가 제공하지 않습니다.따라서 React를 사용할 때는 필요에 따라.. 2025. 7. 24.
웹사이트 완성도를 좌우하는 세 가지 디테일: 웹폰트 최적화, 파비콘, OG 태그의 개념과 중요성 1. 웹폰트 최적화 – 디자인과 성능의 균형🔶 웹폰트란?웹폰트(Web Fonts)는 사이트에 사용자가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되는 글꼴입니다.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Google Fonts가 있죠.한글 웹사이트에서는 Noto Sans KR, Nanum Gothic, Spoqa Han Sans 등이 자주 사용됩니다.🔶 왜 최적화가 필요한가요?웹폰트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UI/UX를 위해 꼭 필요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사이트 속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특히 한글 폰트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로딩 속도 저하나 FOIT(Flash of Invisible Text) 현상이 발생할 수 있죠.🔍 FOIT: 페이지가 로드됐지만 폰트가 다운로드되기 전까지 텍스트가 보이지 않는 현상🔶 웹폰트 최적화 실무 팁아.. 2025. 7.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