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윈도우 탐색기에서 기본적으로 파일 확장자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사용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확장자를 보이게 설정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파일 이름 변경 시 확장자까지 수정하거나, 파일 형식을 직접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파일 탐색기 확장자 보이게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과 주의할 점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파일 탐색기 메뉴에서 확장자 보이게 설정하기
윈도우11에서는 파일 탐색기 상단의 메뉴를 이용해 간단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설정하세요.
1-1. 탐색기 상단 메뉴 열기
- 파일 탐색기를 실행합니다.
- 화면 상단 오른쪽에 있는 **[... 아이콘]**을 클릭하여 메뉴를 엽니다.
1-2. 보기 옵션 선택
- 메뉴에서 **[보기]**를 선택합니다.
- 하위 메뉴로 나오는 **[표시]**를 클릭합니다.
- [파일 확장명] 항목을 클릭해 활성화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탐색기에 표시되는 모든 파일의 확장자가 보이게 됩니다.
2. 폴더 옵션에서 확장자 보이게 설정하기
폴더 옵션을 이용하는 방법은 모든 윈도우 버전(윈도우7, 윈도우10, 윈도우11)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2-1. 폴더 옵션 열기
-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검색 창에 **"파일 및 폴더의 검색 옵션 변경"**을 입력합니다.
- 검색 결과에서 해당 항목을 클릭해 실행합니다.
(제어판이나 파일 탐색기 메뉴를 통해 접근해도 동일합니다.)
2-2. 보기 탭으로 이동
- 폴더 옵션 창이 열리면 [보기] 탭으로 이동합니다.
- 하단의 고급 설정 목록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 항목을 찾습니다.
2-3. 확장자 숨김 체크 해제
- 해당 항목의 체크박스를 해제합니다.
- 하단의 [확인] 버튼을 클릭해 변경 내용을 저장합니다.
추가 내용 및 주의사항
1. 편한 방법을 선택하세요
위 두 가지 방법 중 편한 방법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탐색기 메뉴는 직관적이고 빠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폴더 옵션은 윈도우 버전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2. 확장자 표시 설정 시 주의점
- 파일 확장자가 보이는 상태에서 이름을 변경할 때는 확장자까지 수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실수로 확장자를 변경하더라도, 파일의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원래 확장자로 되돌리면 문제는 없습니다.
3. 기본 설정 유지 추천
확장자 표시를 활성화하면 편리한 점도 있지만, 확장자가 항상 표시되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명령어로 확장자를 변경할 수 있다면 굳이 표시를 활성화하지 않아도 됩니다.
파일 확장자 표시의 장단점
- 장점: 파일 이름 변경 시 확장자까지 수정이 가능해 특정 파일 형식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단점: 초보 사용자는 실수로 확장자를 변경해 파일 실행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련 글 추천
- [파일 확장자 변경 방법]
- [파일 확장자 일괄 변경 방법]
위 글들을 참고하면 확장자 변경 및 관리에 대한 보다 심화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파일 확장자 보이게 설정은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기능입니다. 필요에 따라 설정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고, 확장자를 다룰 때는 신중하게 처리하세요!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1: 시스템 파일 검사 및 복구하기 (0) | 2025.01.16 |
---|---|
윈도우11에서 드라이브 문자 변경 방법 (0) | 2025.01.16 |
크롬에서 이미지의 텍스트 복사 방법 (구글 렌즈) (0) | 2025.01.16 |
CMD 명령어로 파일 확장자 변경하기 (0) | 2025.01.16 |
파일 확장자와 기본 앱 설정 변경 방법: 윈도우 11에서 알아두어야 할 팁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