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웹 브라우저는 우리 일상의 필수 도구 중 하나입니다. 그중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엣지 브라우저는 윈도우 시스템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많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엣지 브라우저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자동 로그인’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저장하여, 다음에 동일한 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하지만 이 기능은 공용 컴퓨터나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엣지 브라우저에서 자동 로그인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방법과 더불어, 저장된 암호를 제거하거나 브라우저를 닫을 때마다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 자동으로 로그인 기능 비활성화하기
- 저장된 암호 제거하기
- 브라우저 종료 시 개인 정보 삭제 설정하기
1. 자동으로 로그인 기능 비활성화하기
엣지 브라우저의 자동 로그인 기능을 비활성화하면 이후 웹사이트 방문 시 로그인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다음 단계를 따라 주세요.
1-1. 설정 메뉴로 이동하기
- 엣지 브라우저를 열고, 화면 오른쪽 상단의 ‘⋮ (점 세 개)’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드롭다운 메뉴에서 ‘설정’ 항목을 선택합니다.
1-2. 암호 옵션으로 이동
- 설정 화면에서 왼쪽에 위치한 ‘프로필’ 메뉴를 클릭합니다.
- ‘암호’ 옵션을 선택합니다.
1-3. 자동 로그인 비활성화
- 암호 설정 화면에서 ‘암호 저장 제안’ 옵션을 끕니다.
- ‘자동 로그인’ 및 ‘자동 완성’ 옵션을 끄면, 앞으로 로그인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지 않습니다.
2. 저장된 암호 제거하기
이미 저장된 암호를 제거하면 해당 사이트 방문 시 더 이상 자동으로 로그인되지 않으며, 수동으로 암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저장된 암호를 제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2-1. 저장된 암호 목록 확인
- ‘설정’ > ‘암호’ 메뉴로 이동합니다.
- 암호가 저장된 사이트 목록이 표시됩니다.
2-2. 암호 제거하기
- 목록에서 제거하려는 사이트를 선택합니다.
- 선택한 사이트의 상세 정보 화면에서 ‘삭제’ 버튼을 클릭하여 암호를 삭제합니다.
- 필요하다면 ‘편집’ 버튼을 클릭하여 저장된 암호를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
3. 브라우저 종료 시 개인 정보 삭제 설정하기
공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브라우저를 닫을 때마다 개인 정보를 삭제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렇게 하면 쿠키, 저장된 암호 등 민감한 정보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3-1. 검색 데이터 삭제 옵션 활성화
- ‘설정’ 메뉴에서 ‘개인 정보, 검색 및 서비스’ 항목을 선택합니다.
- ‘검색 데이터 삭제’ 섹션으로 이동합니다.
3-2. 브라우저 종료 시 삭제할 항목 선택
- ‘브라우저를 닫을 때 데이터 삭제’ 옵션을 클릭합니다.
- 삭제할 항목을 선택합니다. 여기에서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와 ‘암호’ 항목을 활성화하면 브라우저 종료 시 해당 데이터가 삭제됩니다.
마무리
엣지 브라우저의 자동 로그인 기능은 편리하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공용 컴퓨터를 사용할 때는 암호 저장 기능을 끄고 브라우저를 닫을 때마다 개인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안내한 설정 방법을 따라 하면 엣지 브라우저 사용 시 개인 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더 안전한 브라우징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
궁금한 점이나 도움이 필요하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포스팅에서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엣지 브라우저에서 검색어 ‘자동 완성’ 끄는 방법 (0) | 2025.01.17 |
---|---|
엣지 브라우저 절전 모드로 시스템 자원 절약하기 (0) | 2025.01.17 |
브라우저 오류 net::ERR_NAME_NOT_RESOLVED 해결 방법 (0) | 2025.01.17 |
스티커 메모 동기화 오류 해결하는 방법 (0) | 2025.01.17 |
윈도우에서 네트워크 초기화하는 2가지 방법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