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네이버 로그인 얼굴·지문 패스키 사용법: 안전하고 편리한 계정 보호 방법

by 굿센스굿 2025. 2. 7.
반응형

 

1. 네이버 패스키 로그인 도입 배경

최근 네이버는 보안 강화를 위해 패스키(Passkey) 로그인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기존의 비밀번호 로그인 방식에서 한 단계 나아가, 얼굴 인식(Face ID)이나 지문 인식(Touch ID) 을 활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비밀번호 유출 위험을 줄이고 사용자의 로그인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2단계 인증(2FA) 방식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떻게 설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2. 패스키 로그인 vs. 2단계 인증(2FA)

2단계 인증(2FA) 방식

기존의 2단계 인증 로그인 방식에서는 네이버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스마트폰으로 인증 요청이 전송됩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승인을 해야만 로그인이 완료됩니다.

👉 문제점:

  • 스마트폰이 없거나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경우 로그인 불가
  • 다른 사람이 우연히 스마트폰을 보유한 상태라면 인증 가능
  • 비밀번호 유출 시 보안 취약 가능성

패스키 로그인 방식

패스키 로그인은 등록된 기기의 생체 인증(페이스 ID, 지문 등) 을 활용하여 로그인하는 방식입니다. 별도의 인증 요청이나 비밀번호 입력 없이 즉시 로그인이 가능하며, 보안성도 뛰어납니다.

👉 장점:

  • 비밀번호 입력 없이 얼굴이나 지문만으로 로그인 가능
  • 스마트폰을 통한 추가 인증이 필요 없음
  • 비밀번호 유출 위험 감소
  • 로그인 속도가 빠름

3. 네이버 패스키 로그인 설정 방법

📌 1단계: 패스키 등록 필수

  1. 네이버 [내정보] → [보안설정] 메뉴로 이동
  2. 기본 보안 설정 → 패스키 관리에서 패스키 등록
  3. 등록할 디바이스(PC 또는 스마트폰)의 생체 인증(페이스 ID, 지문 등) 활성화

📌 2단계: 패스키 로그인 사용하기

🔹 PC에서 사용하기

  1. 네이버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
  2. 아이디 입력란 하단에 있는 "패스키 로그인" 버튼 클릭
  3. 등록된 기기에서 인증 후 로그인 완료

🔹 모바일 웹(사파리, 크롬)에서 사용하기

  1. 네이버 로그인 페이지에서 "패스키 로그인" 선택
  2. 페이스 ID 또는 지문 인식 인증 진행
  3. 로그인 성공 후 네이버 서비스 이용 가능

💡 현재는 네이버 앱에서는 패스키 로그인을 지원하지 않으며, 사파리·크롬 등 웹 브라우저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4. 패스키 로그인과 2단계 인증 비교

비교 항목 2단계 인증(2FA) 패스키 로그인

로그인 방식 비밀번호 입력 + 추가 인증 승인 얼굴·지문 등 생체 인증
보안성 비밀번호 유출 시 보안 위협 가능 비밀번호 없이 생체 인증으로 보안 강화
편의성 스마트폰을 통한 승인 필요 바로 생체 인증으로 로그인 가능
사용 가능 기기 PC, 모바일 네이버 앱, 웹 PC, 모바일 웹 (네이버 앱 제외)

5. 패스키 로그인 사용 후기

PC에서는 2단계 인증이 더 편리할 수도 있다.
PC에서는 기존의 2단계 인증 방식이 익숙한 사용자라면 패스키 로그인이 다소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 강화를 고려한다면 패스키 로그인이 더 안전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모바일 웹에서는 패스키 로그인 압도적으로 편리하다.
모바일에서는 페이스 ID 또는 지문 인식으로 즉시 로그인이 가능하여 비밀번호 입력 없이 빠르고 안전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앱에서도 지원된다면 더 편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6. 결론: 패스키 로그인이 필요한 이유

🔹 비밀번호 유출 걱정 없이 보다 안전한 로그인 방식 제공
🔹 스마트폰 없이도 바로 로그인 가능하여 편리성 증가
🔹 모바일 환경에서는 최고의 로그인 경험 제공

📢 네이버의 패스키 로그인 기능은 보안과 편의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입니다. 특히, 모바일 웹 환경에서는 기존의 로그인 방식보다 빠르고 안전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