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50%, 100%, 150%)

by 굿센스굿 2025. 3. 19.
반응형

1.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하며, 전체 국민을 소득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간에 해당하는 사람의 소득을 뜻합니다. 이는 기초생활보장제도 및 다양한 복지사업의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 대비 6.42% 증가한 4인 가족 기준 6,097,773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수치입니다. 또한, 13개 부처의 74개 복지 사업에서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금액

각 가구원 수별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2,392,013원
  • 2인 가구: 3,932,658원
  • 3인 가구: 5,025,353원
  • 4인 가구: 6,097,773원

이를 바탕으로 중위소득 50%, 100%,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 수 중위소득 50% 중위소득 100% 중위소득 150%

1인 가구 1,196,007원 2,392,013원 3,588,020원
2인 가구 1,966,329원 3,932,658원 5,898,987원
3인 가구 2,512,676원 5,025,353원 7,538,030원
4인 가구 3,048,887원 6,097,773원 9,146,660원

3. 중위소득별 복지 지원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 정책의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지원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중위소득 기준입니다.

✅ 교육급여 (중위소득 50% 이하)

  • 지원 대상: 4인 가구 기준 3,048,887원 이하
  • 혜택: 학습 보조금 및 교육 관련 지원금 제공

✅ 주거급여 (중위소득 48% 이하)

  • 지원 대상: 4인 가구 기준 2,926,931원 이하
  • 혜택: 월세 지원 및 주택 수리 지원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 지원 대상: 4인 가구 기준 2,439,109원 이하
  • 혜택: 의료비 지원

✅ 생계급여 (중위소득 32% 이하)

  • 지원 대상: 4인 가구 기준 1,951,287원 이하
  • 혜택: 생계비 지원

✅ 한부모가정 지원, 취업성공패키지, 구민취업지원제도, 청년월세지원 (중위소득 60% 이하)

  • 지원 대상: 4인 가구 기준 3,658,664원 이하
  • 혜택: 주거비 및 생활지원금 지급

✅ 긴급복지지원사업 (중위소득 70% 이하)

  • 지원 대상: 4인 가구 기준 4,268,441원 이하
  • 혜택: 위기 상황에 따른 생계 지원

4. 기준 중위소득 계산 방법

기준 중위소득 계산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진행됩니다.

📌 기준 중위소득 X 구하려는 중위소득 %

예를 들어,

  • 1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50%를 구하려면:
    • 2,392,013원 × 0.5 = 1,196,007원
  • 1인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150%를 구하려면:
    • 2,392,013원 × 1.5 = 3,588,020원

이처럼 원하는 퍼센트에 맞춰 계산하면 해당하는 기준 중위소득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5. 마무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정책의 핵심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가구 구성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 50%, 100%, 150%를 확인하여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각종 복지 급여 및 지원을 신청하려면 기준 중위소득 이외에도 추가 조건이 있을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주민센터 또는 관련 기관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 많은 복지 정보와 지원 정책을 활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안정적인 생활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