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윈도우 11에서 네트워크 공유폴더 설정 및 연결하는 법 완벽 정리 (초보자용 가이드)

by 굿센스굿 2025. 4. 8.
반응형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서 파일을 손쉽게 공유하고 싶은데 방법을 몰라 막막하셨나요?
오늘은 윈도우 11 환경에서 네트워크 공유폴더를 만드는 방법부터 연결하는 방법까지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가이드는 IT 초보자도 그대로 따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니,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여러 대의 PC 간 파일 공유가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네트워크 공유폴더란?

네트워크 공유폴더는 같은 네트워크(예: 동일한 Wi-Fi 또는 유선 LAN)에 연결된 여러 PC끼리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윈도우의 기본 기능입니다.
서버나 외부 클라우드 서비스 없이도 빠르게 파일 공유가 가능하므로,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한 명이 작성한 문서를 팀원 전원이 공유 폴더에서 확인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혹은 집에서 거실 PC와 노트북 간에 사진이나 영상 파일을 공유할 때 유용하죠.


📌 사전 준비: 네트워크 프로필 설정

먼저 현재 네트워크가 공용 네트워크로 설정되어 있다면, 공유 기능이 제한됩니다. 반드시 개인 네트워크로 변경해 주세요.

  1. 단축키 Win + i 를 눌러 설정 창을 엽니다.
  2. 좌측 메뉴에서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클릭합니다.
  3. 연결 중인 네트워크(예: Wi-Fi 또는 이더넷)를 클릭합니다.
  4. **[네트워크 프로필 유형]**에서 **‘개인’**을 선택합니다.

💡 보안상 공용 네트워크에서는 공유 기능이 차단되므로, 꼭 개인 네트워크로 설정해야 공유가 가능합니다.


1️⃣ 윈도우 11에서 네트워크 공유폴더 만드는 법

✔️ 1단계: 공유할 폴더 선택

  1. 공유하고자 하는 폴더를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2. [속성]을 클릭합니다.
  3. 상단 탭에서 [공유] → [고급 공유]를 클릭합니다.

✔️ 2단계: 고급 공유 설정

  1. ‘이 폴더 공유’ 체크박스를 선택합니다.
  2. 공유 이름은 기본값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원하는 이름으로 변경합니다.
  3. [사용 권한] 버튼을 클릭합니다.

✔️ 3단계: 접근 권한 부여

  • 모든 사용자에게 열어두고 싶다면
    Everyone 항목을 선택한 후 [모든 권한]에 체크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 보안을 위해 특정 사용자에게만 공유하고 싶다면
    윈도우 계정을 새로 만들고 그 계정에만 접근 권한을 줄 수 있습니다.

🔐 보안 팁: 회사나 공유 PC에서는 Everyone 권한보다는 특정 계정을 추가하여 제한된 공유 방식을 권장합니다.

✔️ 4단계: 윈도우 계정 추가 (선택 사항)

  1. Win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netplwiz 입력 → 엔터.
  2.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고 암호를 설정합니다.
  3. 다시 공유 설정 창으로 돌아가 [추가] → 사용자 이름 입력 → [이름 확인] → [확인].
  4. 해당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을 부여합니다.

2️⃣ 고급 공유 옵션 설정

이제 네트워크 설정 중 **‘고급 공유 설정’**을 조정해줘야 합니다.

  1. **[제어판]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이동합니다.
  2. 좌측 메뉴에서 ‘고급 공유 설정 변경’ 클릭.
  3. 아래 항목을 확인하고 설정합니다:
  • 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켬
  • 암호 보호된 공유:
    • Everyone 권한을 설정했다면 →
    • 특정 사용자만 접근하도록 했다면 →

🔐 암호 보호 공유를 ‘켬’으로 설정하면 접속 시 사용자명과 암호를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3️⃣ 네트워크 공유폴더 연결하는 법

공유폴더 설정이 끝났다면 이제 다른 PC에서 접근할 차례입니다.

✔️ 방법 1: 실행 창 이용 (Win + R)

  1. 실행창(Win + R)에서 다음 형식으로 입력합니다:
\\공유폴더설정PC의IP주소
예: \\192.168.0.100
  1. 엔터를 누르면 해당 PC에 공유된 폴더들이 표시됩니다.

❗ IP 주소 확인 방법:

  • Win + S → 검색창에 CMD 입력 → 명령 프롬프트 실행
  • ipconfig 입력 → IPv4 주소 확인

✔️ 방법 2: 파일 탐색기에서 직접 접속

  1. 파일 탐색기를 열고 상단 주소창에 \\IP주소 입력 후 엔터.
  2. 공유된 폴더에 접속하여 파일을 확인하거나 복사합니다.

🔑 만약 로그인 창이 뜬다면, 공유 설정 시 만든 윈도우 사용자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됩니다.
(혹은 Guest 계정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빈칸으로 두고 로그인 가능)


4️⃣ 공유폴더 바로가기 만들기 (편의 기능)

매번 실행창을 열어 입력하는 건 번거롭죠?
자주 사용하는 공유폴더는 바탕화면에 바로가기를 만들어두면 편리합니다.

  1. 공유폴더에 접속한 뒤 해당 폴더를 마우스로 바탕화면에 드래그합니다.
  2. ‘바로 가기 만들기’ 옵션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3. 클릭 한 번으로 공유폴더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접속 오류 시 체크리스트

공유폴더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었는데도 접속이 안 된다면 아래 항목을 점검하세요.

  • 양쪽 PC 모두 같은 네트워크(같은 Wi-Fi 또는 유선 LAN)에 연결되어 있는가?
  • 네트워크 프로필이 ‘개인’으로 설정되어 있는가?
  • 방화벽 또는 백신 프로그램이 포트를 차단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TCP 포트 137~139, 445가 방화벽에서 열려 있는가?

🚫 위 설정이 어렵다면, 회사 보안 정책이나 관리자 권한 제한으로 인해 막혀 있는 것일 수 있으니 전산 담당자에게 문의해 보세요.


🔍 마무리: 실전 활용 예시

  • 가정용: 부모님 PC에서 자녀 노트북으로 사진 공유
  • 소규모 사업장: 한 명이 만든 견적서 파일을 팀원 전원이 바로 열람 가능
  • 개발 환경: 빌드 파일을 네트워크 경로로 공유하여 테스트 효율 증가

✍️ 마무리 후기 (류리's View)

윈도우 11에서 공유폴더를 설정하고 연결하는 작업은 생각보다 쉽지만, 보안과 네트워크 이해도가 필요한 설정이 많습니다.
특히 Everyone으로 열어둘지, 사용자 계정을 따로 만들지 여부는 사용하는 환경에 따라 신중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단순한 파일 복사에서 벗어나 네트워크 기반의 협업이나 백업 환경까지 구성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정확한 설정만 해두면, 공유폴더는 정말 유용하고 효율적인 기능이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