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노트북 내장 그래픽카드 확인 및 사양 체크 완벽 가이드

by 굿센스굿 2025. 4. 9.
반응형

노트북을 사용하는 여러분,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설치한 프로그램이 자꾸 튕긴다.”
“게임이 너무 느려서 플레이가 힘들다.”

CPU나 램은 충분한데도 이상하게 버벅이고 렉이 생긴다면, 그 원인은 그래픽카드 성능 부족일 수 있습니다. 특히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카드는 데스크탑의 외장 GPU와는 성능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자신의 노트북에 탑재된 내장 그래픽카드가 어떤 모델이며, 성능이 어느 정도인지 체크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노트북 내장 그래픽카드 확인 방법정확한 성능 사양 체크 방법까지 한 번에 안내드리겠습니다.


✅ 목차

  1. 노트북 내장 그래픽카드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
  2. 내장 그래픽카드의 성능(사양) 체크 방법
  3. Intel, AMD CPU별 확인 팁
  4. 체크한 내장 그래픽카드 성능 활용법
  5. 마무리 팁: 설치 전 꼭 확인하세요!

1. 노트북 내장 그래픽카드 확인하는 가장 쉬운 방법

노트북에서 내장 그래픽카드 확인은 매우 간단합니다. 윈도우 기본 기능인 DirectX 진단 도구만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절차대로 따라 해보세요.

🔍 확인 절차

  1. Win 키를 누르거나 작업표시줄 검색창 클릭
  2. "dxdiag" 입력 → 실행 클릭
  3. "디스플레이" 탭 선택

![dxdiag 실행화면 예시]

여기서 ‘장치’ 항목의 이름(Name) 을 확인하면 현재 사용 중인 내장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메모리(Display Memory) 항목에서는 VRAM 용량도 함께 확인 가능하죠.

예시:

  • 이름(Name): Intel(R) UHD Graphics 620
  • 디스플레이 메모리: 128 MB

주의: 이 정보만으로는 성능을 완전히 판단할 수 없습니다. 같은 이름이라도 CPU 세대나 사용 환경에 따라 성능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 정확한 사양을 체크해야 합니다.


2. 내장 그래픽카드의 성능(사양) 체크 방법

그래픽카드의 성능은 보통 게임이나 소프트웨어의 권장 사양 기준이 되기 때문에, 꼭 체크가 필요합니다. 성능 체크는 PassMark라는 전문 벤치마크 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 PassMark GPU 벤치마크 활용하기

  1. 네이버 혹은 구글에서 “PassMark GPU” 검색
  2. 첫 번째 링크 클릭 → https://www.videocardbenchmark.net
  3. 검색창(Ctrl+F) 을 이용해 자신의 그래픽카드 이름 입력

![PassMark GPU 검색화면 예시]

예를 들어, Intel Iris Xe Graphics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이름을 검색하면 벤치마크 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점수를 통해 다른 그래픽카드와 성능 비교도 가능하죠.

💡 참고: 점수는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합니다. 게임이나 고사양 프로그램은 최소 1500점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Intel, AMD CPU별 내장 GPU 사양 확인 팁

🔸 AMD CPU의 경우

AMD는 대부분 내장 GPU 성능을 CPU 이름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yzen 5 5600U는 Vega 7 그래픽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PassMark에서 "Ryzen 5 5600U GPU" 또는 "Vega 7" 을 검색하면 벤치마크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Intel CPU의 경우

Intel은 내장 GPU 이름이 다양하고, CPU 이름만으로는 정확한 GPU 명칭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아래처럼 확인하세요.

Intel 내장 GPU 확인 방법:

  1. 장치 관리자 실행 (Win + 검색창 → "장치 관리자")
  2. 프로세서 > CPU 이름 확인
  3. CPU 모델명을 복사 (예: Intel Core i5-1135G7)
  4. 구글에서 "Intel i5-1135G7 GPU" 검색 → 내장 그래픽 확인 (예: Intel Iris Xe Graphics)

해당 GPU 명칭으로 다시 PassMark에서 벤치마크 점수 확인이 가능합니다.


4. 체크한 내장 그래픽카드 성능 활용법

내장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확인한 뒤에는,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설치나 게임 실행 전 참고해야 할 몇 가지 팁이 있습니다.

✅ 권장 사양 비교 방법

  • 설치하려는 프로그램의 공식 홈페이지 또는 스팀에서 권장 사양 확인
  • 대부분 그래픽카드 명칭 또는 VRAM(비디오 메모리) 기준으로 명시됨
  • 본인의 GPU 점수와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더 높다면 실행 가능성 높음

🎮 예시 비교

게임/프로그램 권장 그래픽카드 최소 PassMark 점수 내 GPU 점수 실행 가능 여부

리그 오브 레전드 Intel HD 4000 약 300점 800점 (Iris Xe) 가능
어도비 프리미어 GTX 1050 약 4500점 1200점 (UHD 620) 어려움

5. 마무리 팁: 설치 전 꼭 확인하세요!

  • 내장 그래픽카드는 외장 GPU보다 성능이 낮기 때문에, 무리한 기대는 금물입니다.
  • 간단한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 문서작업 등은 대부분 무난하게 작동합니다.
  • 고사양 그래픽작업이나 최신 게임은 반드시 외장 GPU가 필요합니다.

만약 여러분의 노트북 내장 GPU 성능이 낮다면,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예: GeForce NOW, Xbox Cloud Gaming)나 웹 기반 툴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노트북의 내장 그래픽카드 확인 및 사양 체크 방법을 초보자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습니다.
특히 내장 그래픽카드는 모델명이 같더라도 CPU 세대나 노트북 설계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PassMark 점수를 반드시 참고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무작정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오늘 알려드린 과정을 통해 사전에 자신의 기기를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신다면 시간 절약은 물론 불필요한 스트레스도 줄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실용적인 IT 정보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내장그래픽카드확인 #노트북사양체크 #dxdiag #PassMark #GPU벤치마크 #그래픽카드성능비교 #노트북활용팁 #IT블로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