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PC를 사용하다 보면, 평소보다 느려졌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또는 새로 설치한 고사양 게임이나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거나, 업그레이드를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바로 현재 내 컴퓨터 사양 확인입니다.
하지만 컴퓨터 사양 확인은 막상 시도해보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CPU, RAM, 그래픽카드, 저장장치, 메인보드 등 다양한 부품들이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를 어디에서 어떻게 확인해야 하는지를 모르면 정보 파악조차 힘들 수 있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환경에서 내 컴퓨터 사양을 쉽게 확인하는 방법을 부품별로 나누어 아주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초보자도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자신의 PC 정보를 완전히 파악할 수 있게 도와드릴 테니, 천천히 따라오시면 됩니다.
💡 목차
- CPU와 RAM 확인 방법
- 저장장치(HDD, SSD) 확인
- 메인보드 정보 확인
- 그래픽카드 확인 방법
- 추가 정보: 파워서플라이, 케이스 확인 팁
- 마무리 및 추천 툴 안내
1. CPU와 RAM 확인 방법 (작업 관리자 활용)
● 작업 관리자 실행하는 방법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작업 관리자'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아래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
- 방법 1: 작업표시줄에서 마우스 우클릭 → '작업 관리자' 선택
- 방법 2: 키보드에서 Ctrl + Shift + Esc 또는 Ctrl + Alt + Del 입력 후 작업 관리자 선택
● CPU 확인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면 상단의 ‘성능’ 탭으로 이동해 좌측 메뉴에서 CPU 항목을 클릭합니다.
여기서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델명: 예) Intel Core i5-12400, AMD Ryzen 5 5600X
- 기본 속도 (GHz): CPU의 작동 속도를 나타냅니다.
- 코어 및 스레드 수: 멀티태스킹 성능과 관련
- 캐시 용량 (L1, L2, L3): 고속 임시 저장소로 성능과 직결됨
이 정보는 CPU 업그레이드나 프로그램 최소 사양 확인 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RAM(메모리) 확인
CPU 아래의 ‘메모리’ 탭을 클릭하면 RAM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총 용량: 예) 8GB, 16GB 등
- 속도 (MHz): 예) 3200MHz
- 사용 슬롯 수 및 전체 슬롯 수: 업그레이드 여유 공간 확인
- 폼 팩터: 일반적으로 데스크탑은 DIMM, 노트북은 SODIMM
다만, DDR4인지 DDR5인지 등의 규격은 여기서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뒤에서 다룰 메인보드 정보를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2. 저장장치(HDD, SSD) 확인 방법
● 디스크 성능 확인 (작업 관리자)
작업 관리자 ‘성능’ 탭에서 **디스크 항목(Disk 0, Disk 1 등)**을 선택하면 현재 장착된 저장장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디스크 종류: SSD인지 HDD인지 명확하게 표시됨
- 용량 및 사용량 확인
- 윈도우 설치된 드라이브인지 여부도 확인 가능
● 추가 정보 확인 방법
작업 관리자에서는 제품명까지만 확인 가능하며, 상세 스펙(읽기/쓰기 속도 등)은 확인이 어렵습니다. 이 경우 해당 제품명을 복사해 네이버나 구글에 검색하면 정확한 상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 “Samsung MZVL2512HCJQ” → 검색하면 NVMe SSD, PCIe 4.0 등 정보 확인 가능
3. 메인보드(Mainboard) 정보 확인 방법
● 시스템 정보(msinfo32) 실행
메인보드는 일반적으로 작업 관리자에서는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 기본 제공 프로그램인 시스템 정보를 이용해야 합니다.
- 윈도우 키 + S → msinfo 또는 시스템 정보 검색
- ‘시스템 정보’ 앱 클릭
● 확인할 항목
‘시스템 요약’ 항목을 보면 아래와 같은 메인보드 관련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베이스보드 제조업체(BaseBoard Manufacturer)
- 베이스보드 제품명(Product)
- 베이스보드 버전
이 정보를 이용해 해당 메인보드의 상세 스펙을 네이버에 검색하면 CPU 소켓 타입, RAM 지원 규격(DDR4/DDR5), 슬롯 수 등도 확인할 수 있어 업그레이드 시 호환성 확인에 매우 유용합니다.
4. 그래픽카드(Graphics Card) 확인 방법
그래픽카드는 고사양 게임, 영상 편집, 3D 작업 등에서 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핵심 부품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선 **DirectX 진단 도구(dxdiag)**를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 Dxdiag 실행 방법
- 윈도우 키 + R → 실행창 열기
- dxdiag 입력 후 엔터
● 디스플레이 탭 정보
‘디스플레이(Display)’ 탭에서 아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름: NVIDIA GeForce RTX 3060 등
- 제조업체(제조사): NVIDIA, AMD 등
- VRAM(비디오 메모리): 4GB, 8GB 등
- 칩셋: GPU 모델 고유 정보
※ CPU에 내장 그래픽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1’, ‘디스플레이 2’로 나눠져 있으며, 보통 NVIDIA 또는 AMD가 외장 그래픽입니다.
●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 GPU-Z 또는 CPU-Z 같은 전문 툴을 설치하면 베이스 클럭, 메모리 클럭, TDP 등 고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추가 정보: 파워서플라이, 케이스 등
● 파워서플라이 확인
파워는 시스템 안정성과 직결되는 부품이지만, 윈도우 상에서 확인 불가능합니다.
직접 PC 본체 커버를 열고 파워 옆 라벨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입니다.
- 확인 포인트: 정격 출력(W), 제조사, 80 Plus 인증 여부
● 케이스 크기 확인
케이스는 호환성과 쿨링 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부품 업그레이드 전 미들타워, 미니타워, 풀타워인지 확인하세요. 외형이나 제품명 검색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6. 마무리 및 추천 툴 안내
오늘은 내 컴퓨터 사양을 확인하는 모든 방법을 CPU, 메모리, 저장장치,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순으로 상세히 알아봤습니다. 각각의 부품 정보는 업그레이드나 중고 판매, 또는 신규 구매 시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 요약 체크리스트
- 작업 관리자: CPU, 메모리, 저장장치 정보
- 시스템 정보(msinfo): 메인보드 정보
- dxdiag: 그래픽카드 정보
- CPU-Z / GPU-Z: 고급 정보 확인
정확한 사양을 알고 있어야 제대로 된 하드웨어 선택과 호환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디스크(HDD) 연결 및 설치 방법 총정리 | 컴퓨터 저장 공간 확장 A to Z (0) | 2025.04.09 |
---|---|
내 아이피 주소 확인 및 IP 변경 방법 완벽 정리 (0) | 2025.04.09 |
컴퓨터 예약종료 완벽 가이드 : shutdown 명령어부터 단축 아이콘 만들기까지 (0) | 2025.04.09 |
팀뷰어 다운로드 및 설치부터 원격 제어 사용법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4.09 |
[윈도우 정품인증 방법 & CMD를 활용한 워터마크 제거법] 한 번에 정리!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