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Java)는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그 중에서도 **이클립스(Eclipse)**는 자바 개발 환경으로 널리 사용되는 강력한 통합 개발 도구죠.
입문자 분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이클립스에서 ‘Hello, Java!’ 문구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는 과정을 스크린샷과 함께 상세히 설명드릴게요.
📌 자바 프로그램 만들기 전 준비사항
지난 포스팅에서 자바 개발을 위한 기본 프로젝트 구조를 구성했었죠.
- 자바 프로젝트 생성
- 패키지 생성
- 클래스 생성
해당 과정을 완료하셨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이클립스에서 보실 수 있을 겁니다.
.java 확장자를 가진 클래스 파일이 열려 있는 상태일 텐데요, 이곳에 우리가 직접 코드를 작성하게 됩니다.
✏️ 소스 코드 작성: Hello, Java! 출력하기
클래스 파일을 열어보면 다음과 같은 기본 코드가 미리 입력되어 있을 거예요:
public class HelloJav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
}
위 코드 중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는 주석 처리된 설명이기 때문에 지워도 무방합니다.
이 줄을 삭제한 뒤, 아래와 같이 코드 한 줄을 추가해 주세요:
System.out.println("Hello, Java!");
결과적으로 최종 코드는 이렇게 됩니다:
public class HelloJav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Java!");
}
}
간단하죠?
이 한 줄의 명령어가 바로 콘솔 창에 'Hello, Java!'라는 문장을 출력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소스 코드 저장 및 자동 컴파일
이클립스는 코드 파일을 저장하는 순간 자동으로 컴파일을 해줍니다.
우리가 CMD(명령 프롬프트)에서 일일이 javac 명령어로 컴파일 하던 것과는 다르죠.
✅ 저장 방법
파일명 탭 앞에 *가 붙어 있다면 아직 저장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 Ctrl + S를 눌러 저장하거나
- File > Save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저장하는 순간, 이클립스는 자동으로 컴파일을 수행하여 .class 바이트코드 파일을 생성합니다.
⚙️ 자동 컴파일 설정 확인하기
혹시 자동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 옵션을 체크해 보세요:
➤ Project > Build Automatically
이 옵션에 체크가 되어 있어야 코드 저장과 동시에 자동으로 컴파일이 이루어집니다.
해당 옵션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수동으로 Project > Build Project를 눌러 컴파일을 해야 해요.
자동 컴파일이 설정되면, 저장과 동시에 프로그램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준비됩니다.
▶️ 자바 프로그램 실행하기 (Run)
자, 이제 코드도 작성했고 컴파일도 끝났습니다.
그럼 프로그램을 실행해 볼 차례입니다.
이클립스 상단 메뉴에서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 초록색 동그라미에 흰색 ▶️ 아이콘
이 버튼이 바로 Run 버튼입니다.
누르는 순간, 하단에 Console 창이 열리며 우리가 작성한 결과가 출력됩니다.
Hello, Java!
성공적으로 출력되었나요?
이렇게 간단하게 첫 자바 프로그램이 완성된 것입니다.
📂 .java와 .class 파일은 어디에 저장될까?
자바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흔히 궁금해지는 것이 있습니다.
“내가 작성한 코드 파일과 컴파일된 결과물은 어디에 저장될까?”
이클립스에서는 프로젝트를 처음 만들 때 설정한 워크스페이스(Workspace) 안에 모든 파일이 저장됩니다.
예시 워크스페이스 경로
C:\workspace\Hanjakore\
여기서 Hanjakore는 사용자가 생성한 프로젝트명이라고 가정해볼게요.
📁 주요 폴더 구성
- src 폴더 : 직접 작성한 자바 소스 파일(.java)이 저장됩니다.
- bin 폴더 : 컴파일된 바이트코드 파일(.class)이 저장됩니다.
src는 사람이 읽는 코드, bin은 컴퓨터가 읽는 코드!
🔍 폴더 구조 확인하기
- src 폴더 내부
- src/ └── ch01/ └── lesson05/ └── HelloJava.java
- bin 폴더 내부
- bin/ └── ch01/ └── lesson05/ └── HelloJava.class
이처럼 src와 bin은 동일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소스 코드와 컴파일된 결과물이 동일하게 배치됩니다.
🧠 번외 지식: 자바 컴파일의 원리 간단 설명
조금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자바의 컴파일 구조를 아주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 자바 파일(.java)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입니다.
- 자바 컴파일러(javac) : .java 파일을 컴파일하여 .class 파일로 변환합니다.
- 바이트코드(.class) : JVM이 이해할 수 있는 중간 언어. 실제 실행 시 JVM이 이 바이트코드를 읽고 실행합니다.
- JVM (Java Virtual Machine) : 자바 프로그램을 운영체제와 관계없이 실행시켜주는 가상 머신입니다.
✅ 마무리: 자바 입문은 천천히, 하지만 확실하게!
오늘은 이클립스에서 자바 프로그램을 실제로 작성하고 실행해보는 과정을 함께 해봤습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몇 번만 연습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요약!
- System.out.println()으로 출력 코드를 작성
- 저장하면 자동으로 컴파일
- Run 버튼으로 실행
- 결과는 Console 창에서 확인
처음 자바에 입문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런 작은 성공 경험 하나하나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제 여러분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겠죠?
"나는 이클립스로 자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 개발의 첫걸음, 이클립스 IDE 설치하기 – 통합 개발 환경(IDE) (0) | 2025.04.15 |
---|---|
이클립스에서 자바 클래스 만들기 – 자바 초보자를 위한 친절한 입문 가이드 (0) | 2025.04.15 |
이클립스 단축키 총정리! 생산성을 2배 높여주는 실전 꿀팁 7가지 (0) | 2025.04.15 |
하드디스크(HDD) 연결 및 설치 방법 총정리 | 컴퓨터 저장 공간 확장 A to Z (0) | 2025.04.09 |
내 아이피 주소 확인 및 IP 변경 방법 완벽 정리 (0)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