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웹사이트 완성도를 좌우하는 세 가지 디테일: 웹폰트 최적화, 파비콘, OG 태그의 개념과 중요성

by 굿센스굿 2025. 7. 24.
반응형

 

1. 웹폰트 최적화 – 디자인과 성능의 균형

🔶 웹폰트란?

웹폰트(Web Fonts)는 사이트에 사용자가 설치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적용되는 글꼴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Google Fonts가 있죠.
한글 웹사이트에서는 Noto Sans KR, Nanum Gothic, Spoqa Han Sans 등이 자주 사용됩니다.

🔶 왜 최적화가 필요한가요?

웹폰트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UI/UX를 위해 꼭 필요하지만, 잘못 사용하면 사이트 속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한글 폰트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로딩 속도 저하나 FOIT(Flash of Invisible Text) 현상이 발생할 수 있죠.

🔍 FOIT: 페이지가 로드됐지만 폰트가 다운로드되기 전까지 텍스트가 보이지 않는 현상

🔶 웹폰트 최적화 실무 팁

아래 세 가지 방법은 대부분의 웹 프로젝트에서 기본으로 적용해야 할 핵심 포인트입니다.

✅ 1) 필요한 굵기만 불러오기

많은 폰트들이 100, 300, 400, 500, 700, 900처럼 다양한 굵기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실사용은 보통 400(Regular)과 700(Bold)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처럼 불필요한 굵기를 제외하고 필요한 것만 호출하면 로딩 속도가 향상됩니다.

✅ 2) 서브셋만 불러오기

한글, 라틴, 숫자 등 전체 문자를 불러오는 것보다 ‘서브셋(Subset)’으로 필요한 언어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font-display 속성 사용하기

CSS에서 font-display: swap을 설정하면 폰트가 로딩되기 전까지 기본 시스템 폰트가 먼저 표시됩니다.

@font-face {
  font-family: 'Noto Sans KR';
  src: url('/fonts/noto-sans.woff2') format('woff2');
  font-display: swap;
}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폰트 로딩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고, UX도 훨씬 자연스러워집니다.

✅ 4)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서버에 저장

Google Fonts 등 외부 링크 대신 폰트를 직접 다운로드해서 자신의 서버에 업로드하면 외부 네트워크 지연 없이 더 빠르게 로드됩니다.


2. 파비콘(Favicon) – 작은 아이콘이 주는 브랜드 인상

🔶 파비콘이란?

**파비콘(Favicon)**은 브라우저 탭에 표시되는 작은 아이콘입니다. 보통 사이트의 로고 심볼, 이니셜, 축약 이미지 등을 사용하죠.

💡 ‘favorite icon’의 줄임말이 바로 favicon입니다.

🔶 파비콘이 중요한 이유

  • 🔹 브라우저 탭에서 브랜드 인식을 강화
  • 🔹 사용자가 여러 개의 탭을 열었을 때 내 사이트를 쉽게 식별
  • 🔹 북마크, 모바일 홈화면 저장 시에도 사용
  • 🔹 파비콘이 없으면 브라우저 기본 아이콘(회색 지구 모양 등)으로 보여 미완성 느낌을 줄 수 있음

🔶 파비콘 적용 방법

가장 기본적인 적용 방식은 HTML <head> 태그 안에 다음과 같이 작성하는 것입니다.

<link rel="icon" href="/favicon.ico" type="image/x-icon">

기본적으로 .ico 파일을 사용하지만 .png, .svg 등 다른 포맷도 함께 제공하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권장 사이즈

포맷 용도 사이즈

.ico 데스크톱 브라우저 16x16, 32x32
.png 모바일/HiDPI 화면 180x180
.svg 반응형, 벡터 지원 자유

3. OG 태그 – 링크 공유 시 콘텐츠의 얼굴

🔶 OG 태그란?

OG(Open Graph) 태그는 SNS나 메신저에서 사이트 링크를 공유할 때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 제목, 설명 등을 미리 정의하는 HTML 메타 태그입니다.

🔶 왜 OG 태그가 중요한가요?

  • 🔹 페이스북, 카카오톡, 트위터, 슬랙 등에서 링크를 예쁘게 보여줌
  • 🔹 썸네일/제목/설명이 없거나 어색하게 나오면 공유율 급감
  • 🔹 마케팅 캠페인, 이벤트 페이지 등에서는 전환율에 큰 영향을 미침

🔶 기본 OG 태그 구성 예시




이 태그들은 <head> 내부에 넣으며, SNS 플랫폼들이 자동으로 크롤링하여 카드 형태로 정보를 표시합니다.

🔶 그 외 추천 태그

  • twitter:card : 트위터 최적화
  • og:type : website, article 등
  • og:site_name : 사이트 이름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상황

실제 웹 프로젝트 진행 중 흔히 겪는 대화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상황 대화

웹폰트 적용 후 느려짐 👩‍🎨 디자이너: "폰트 예쁜 걸로 바꿨는데 로딩이 느려요!"👨‍💻 개발자: "웹폰트 최적화가 안 되어 있어서 그래요. 필요한 굵기만 적용할게요."
브라우저 탭 아이콘 없음 👩‍💼 대표: "우리 사이트 탭에 왜 회색 지구가 뜨죠?"👨‍💻 퍼블리셔: "파비콘이 없으면 브라우저 기본 아이콘이 보여요. 로고로 만든 ico 파일 넣을게요."
SNS 썸네일 미출력 👩‍💻 마케터: "카카오톡에 링크 보냈는데 이미지가 안 나와요!"👨‍💻 개발자: "OG 태그가 빠져있네요. 바로 추가하겠습니다."

마무리 정리 – 작은 디테일이 완성도를 만든다

오늘 소개한 웹폰트 최적화, 파비콘, OG 태그는 웹사이트의 필수 기능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심리와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항목 역할

웹폰트 최적화 빠르고 예쁜 텍스트 렌더링
파비콘 브라우저, 모바일에서 브랜드 인식 강화
OG 태그 링크 공유 시 콘텐츠 신뢰도 및 클릭 유도

특히 브랜드를 알리고자 하는 마케팅 목적의 사이트, 포트폴리오, 커머스 플랫폼 등에서는 이 세 가지 요소를 반드시 꼼꼼히 챙기셔야 합니다.


마치며 – 내 사이트는 잘 갖춰져 있을까?

혹시 지금 운영 중인 웹사이트나 블로그가 있다면, 아래 항목들을 체크해보세요.

  • ✅ 폰트는 최적화되어 있는가?
  • ✅ 탭에서 내 브랜드 아이콘이 보이는가?
  • ✅ 카카오톡, 페이스북에 링크를 보냈을 때 썸네일이 제대로 나오는가?

이 중 하나라도 ‘아니오’라면 지금 바로 수정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런 디테일이 바로 브랜드의 신뢰도와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이니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실무에 도움이 되는 웹 기초 용어와 기술들을 계속 정리해 드릴게요.

궁금한 점은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