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저장 안 한 한글 파일 복구하는 2가지 확실한 방법 (자동저장 + 복구 프로그램)

by 굿센스굿 2025. 4. 8.
반응형

 

컴퓨터로 문서 작업을 자주 하시는 분이라면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겁니다. 열심히 작성하던 한글 문서가 저장되지 않은 채 사라지는 악몽 같은 경험. 갑자기 컴퓨터가 꺼졌거나 프로그램이 강제 종료되었을 때, 혹은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닫아버렸을 때… 이런 상황은 단 한 번으로도 소중한 데이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굉장히 당황스럽고 곤혹스러운데요.

심지어 휴지통에서도 찾을 수 없을 만큼 영구 삭제되어버린 경우라면, 복구 방법이 마땅치 않다고 느끼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저장 안 한 한글 문서를 복구하는 2가지 핵심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기본 기능부터 전문 복구 툴까지 모두 다뤄보니, 소중한 문서를 다시 되찾고 싶으시다면 끝까지 정독해보세요.


✅ 목차

  1. 한글 자동저장 기능으로 복구하기
  2. Tenorshare 4DDiG 복구 프로그램 활용하기
  3. 마무리 및 복구 시 유의사항

1. 한글 자동저장 기능으로 복구하기

대부분의 최신 한글(HWP)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의 실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저장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문서 작업 중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임시 저장 파일을 만들어두는 기능인데요, 이 자동 저장 파일을 활용하면 저장하지 않고 닫은 문서도 다시 살려낼 수 있습니다.

🔍 자동저장 위치 확인 방법

자동저장 파일이 생성되는 위치는 일반적으로 다음 경로를 따릅니다.

C:\Users\사용자이름\AppData\Local\Temp\Hwp100 ~ Hwp130

📝 여기서 "사용자이름"은 본인의 컴퓨터 계정명을 의미하며, AppData 폴더는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으니 파일 탐색기 상단에서 '숨김 항목 표시'를 활성화해주셔야 합니다.

🔧 한글에서 자동 저장 설정 확인 방법

한글 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 상단 메뉴에서 도구 → 환경설정 → 파일 탭으로 이동하세요.
  • 여기에서 ‘자동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저장 주기를 몇 분 간격으로 설정해두는 것도 좋은 팁입니다.

자동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고, 작성 중이던 문서가 강제 종료되었다면 위 경로에서 .asv 확장자를 가진 임시 파일을 찾아보세요.

해당 파일을 한글 프로그램으로 열어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복구 완료입니다.

⚠️ 자동 저장의 한계

  • 자동 저장이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이 방법으로는 복구할 수 없습니다.
  • 직접 문서를 삭제한 경우에도 자동 저장 폴더에는 파일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 저장 주기 이전에 프로그램이 종료되었다면 최신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자동 저장 기능만으로는 100% 복구를 장담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추가 복구 방법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2. Tenorshare 4DDiG로 삭제된 한글 문서 복구하기

자동 저장 기능으로도 문서를 되찾을 수 없다면? 이럴 땐 데이터 복구 전문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그중에서도 최근 사용자 만족도가 높은 복구 툴이 바로 Tenorshare 4DDiG입니다.

🔗 Tenorshare 4DDiG 소개

  • 삭제된 문서, 이미지, 영상, 심지어 포맷된 파일까지 복구 가능
  • 다양한 포맷 지원: HWP, HWPX, DOC, XLSX, PDF 등
  • 기본 무료 복구 용량 2GB 제공
  • Windows와 Mac 모두 지원

💻 설치 및 실행 방법

  1. Tenorshare 4DDiG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3. 프로그램 실행 후, 복구하고 싶은 드라이브(C드라이브 등)를 선택합니다.

🧭 복구 대상 필터링

  • 복구 범위를 좁히기 위해 "문서" 항목만 체크해 주세요.
  • 한글 문서의 경우 .hwp, .hwpx 형식이기 때문에 스캔 결과에서 유형 → 문서 → HWP/HWPX 경로를 따라가면 됩니다.

🕵️‍♀️ 파일 찾고 복구하기

  1. 스캔된 목록에서 수정 날짜를 기준으로 원하는 파일을 찾습니다.
  2. 해당 문서를 체크한 후, 우측 하단의 복구 버튼을 클릭합니다.
  3. 복구할 파일의 저장 위치를 **다른 드라이브(D드라이브 등)**로 선택하면 완료!

💡 복구는 반드시 기존 파일이 있던 드라이브가 아닌 다른 드라이브에 저장해야 합니다. 덮어쓰기 방지를 위해서죠.

✅ 실제 복구 사례

실제로 테스트해본 결과, 몇 개월 전 삭제한 한글 문서도 정상적으로 복구되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미지와 텍스트, 형식까지 그대로 살아 있었고, 심지어 포스팅 준비 중에 작성했다가 실수로 지운 문서도 완벽하게 복원됐습니다.


3. 복구 작업 시 유의사항 및 팁

마지막으로, 복구를 시도할 때 알아두면 좋은 팁들을 정리해드립니다.

📌 꼭 기억하세요!

  • 자동 저장 기능은 항상 켜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 문서를 지우고 나서는 즉시 복구를 시도하세요. 시간이 지날수록 덮어쓰기 확률이 높아져 복구 성공률이 낮아집니다.
  • 복구 도중에는 컴퓨터 사용을 최소화해서 덮어쓰기 가능성을 줄이세요.
  • 복구 성공 여부는 케이스마다 다르므로, 무료 스캔으로 미리 확인 후 유료 구매 여부 결정을 추천드립니다.

🧾 마무리 - 한글 문서 복구,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오늘은 실수로 저장하지 않고 닫아버렸거나, 삭제해버린 한글 문서를 복구하는 2가지 확실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자동 저장 기능을 활용하면 저장하지 않은 문서를 복원할 수 있고,
  • 전문 복구 프로그램인 Tenorshare 4DDiG를 사용하면 삭제된 파일도 복구할 수 있습니다.

예방이 최선이지만, 만약의 상황이 생겼을 때 당황하지 마시고 위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소중한 데이터를 꼭 되찾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문서가 무사히 복구되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이 포스팅을 이웃과 공유해주세요!
📩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릴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