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사는 청년이라면, 한 번쯤은 꿈꿔봤을 “도심 속 안정적인 나만의 공간.” 2025년에도 어김없이 ‘청년안심주택’ 1차 모집공고가 발표되며 많은 청년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모집에는 교통과 주거환경 모두 뛰어난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와 강남 도곡 더써밋타워가 포함되어 있어 더욱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의 신청 조건, 임대료, 보증금, 신청 일정, 입주 요건 등을 완벽하게 정리하여 제공해드립니다. 이 글 하나면 ‘청년안심주택’ 완벽 이해, 충분합니다!
청년안심주택이란?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와 민간이 협력하여 만 19세~39세 무주택 청년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공공 및 민간 임대주택 제도입니다. 시세 대비 약 30% 저렴한 임대료, 역세권 위주로 배치된 입지, 최대 10년 거주 가능 등 다양한 장점으로 해마다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죠.
주요 혜택 요약
- 최대 10년간 거주 가능 (2년 단위 재계약)
- 보증금 최대 50% 무이자 대출
- 월세 시세 대비 약 30% 수준
- 서울 시내 중심부, 역세권 위주 입지
- 청년뿐 아니라 신혼부부도 일부 신청 가능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 공급 개요
서울시는 2025년 4월 9일, ‘2025년 1차 청년안심주택 모집공고’를 통해 총 1,485가구 공급을 발표했습니다. 이 중 신규 공급은 1,356가구, 재공급은 129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단지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급 주요 단지 (14개소 중 일부)
- 강남 도곡 더써밋타워
-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 광운대역 다움하우스
- 동대문구 장안동, 서초동, 중랑구 상봉동 등
신청 일정 및 절차
- 청약 접수 기간: 2025년 4월 21일(월) ~ 4월 23일(수) 17:00까지
-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2025년 5월 9일
- 최종 당첨자 발표: 2025년 8월 29일
- 입주 예정 시점: 2025년 10월부터 순차적 입주
※ 신청은 **soco.seoul.go.kr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청년안심주택 지원 자격 요건
1. 공통 조건
- 연령: 만 19세~39세
- 무주택자: 본인, 배우자, 직계존·비속 모두 무주택자
- 세대당 1건만 신청 가능
- 내국인만 신청 가능 (외국인 및 재외국민 제외)
2. 청년 유형별 우선순위
구분 내용
1순위 | 생계/의료/주거급여 수급자,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차상위계층 |
2순위 | 본인+부모의 소득 합산이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00% 이하, 자산 3억 3,700만원 이하 |
3순위 | 본인만의 소득·자산 기준 충족 (소득 100%, 자산 2억 5,400만원 이하), 자동차 3,803만원 이하 |
※ 1인 가구 청년은 소득 기준 완화 적용 (기준 +20%)
신혼부부 지원 요건
신청일 기준으로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신혼부부(입주 전까지 혼인신고 예정)**가 대상입니다.
신혼부부 I
- 소득: 월평균 70% 이하 (맞벌이 90%)
- 자산: 3억 3,700만원 이하
- 자녀 있을 경우 자산 기준 완화
신혼부부 II
- 소득: 월평균 130% 이하 (맞벌이 200%)
- 자산: 3억 5,400만원 이하
우선순위는 자녀 유무 및 가구 특성에 따라 1~5순위로 나뉘며, 자세한 기준은 공고문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대 조건 – 보증금과 월세는?
임대료는 A~D형으로 구분되며, A형이 가장 저렴합니다. 입주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배정되며, 다음은 대표 단지의 조건입니다.
1. 용산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23.87㎡, 약 40세대 공급)
- A형: 보증금 4,200만 원 / 월세 18만 원
- B형: 보증금 7,000만 원 / 월세 30만 원
2. 도곡 더써밋타워 (18.34㎡)
- A형: 보증금 4,200만 원 / 월세 18만 원
- B형: 보증금 7,000만 원 / 월세 31만 원
3. 광운대역 다움하우스
- A형: 보증금 3,000만 원 / 월세 10만 원대
- B형: 월세 17만 원대
※ 임대료는 시세 대비 30~50% 저렴하게 책정되어 있으며, 보증금의 최대 50%는 서울시에서 무이자 대출 가능합니다.
최대 10년까지 안정적인 거주 가능
- 최초 계약기간: 2년
- 재계약 가능 횟수: 4회 (총 10년 가능)
- 재계약 조건: 계속해서 소득·자산 기준 충족 필요
- 중간에 조건을 벗어나면 재계약 불가
유의사항 및 팁
- 과거 청년안심주택 당첨 이력 있으면 불이익 발생 가능
- 신청 전 반드시 공고문 정독!
- 중복 신청 시 전원 탈락
- 임대차계약 체결 시: 납부 방법 및 무이자 대출 절차 안내
마무리 – 당첨만 된다면 최고의 주거 혜택!
서울에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안정적인 주거를 원하신다면, 청년안심주택은 정말 좋은 기회입니다. 특히 이번 2025년 1차 공급에는 용산과 강남이라는 최고 입지의 신규 물량이 포함되어 있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신청 일정(4월 21일~23일)**을 꼭 기억하시고, 본인의 조건에 맞는 단지와 임대 유형을 확인해 꼼꼼히 준비해보세요.
청년 여러분, 이번 기회에 서울 도심에서 안심하고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꼭 마련하시길 바랍니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 청년안심주택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청년안심주택 바로가기
'생활과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연봉 실수령액과 세금: 국민연금 인상 언제부터 반영될까? (0) | 2025.04.23 |
---|---|
“나이롱 환자” 막는다! 자동차 보험 부정수급 개선과 향후치료비 삭제, 그 전말 (0) | 2025.04.23 |
2025년 실업급여 완벽 가이드: 조건부터 신청방법, 하한액 인상까지 총정리! (0) | 2025.04.23 |
기후동행카드 하남시까지 확대! 경기패스와 비교, 청년 할인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4.23 |
2025년 고령자 운전면허 반납 제도와 지원금 총정리 (나이, 조건, 신청방법까지 완벽 안내)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