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Database109

오라클 서브쿼리란 무엇인가? 서브쿼리(Subquery)는 SQL에서 하나의 쿼리 안에 포함된 또 다른 쿼리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메인 쿼리(Main Query)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서브쿼리는 괄호 ( )로 감싸며, SELECT, INSERT, UPDATE, DELETE 쿼리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서브쿼리의 특징과 활용종속적 서브쿼리(Dependent Subquery)메인 쿼리의 결과에 의존하며, 메인 쿼리의 각 행에 대해 실행됩니다.독립적 서브쿼리(Independent Subquery)메인 쿼리와 독립적으로 실행되어 결과를 제공합니다.사용 위치SELECT 절: 계산하거나 생성된 값을 반환할 때FROM 절: 임시 테이블 역할로 사용WHERE 절: 조건으로 활용서브쿼리의 기본 구조.. 2024. 12. 3.
오라클 DB에서 SELF JOIN과 CROSS JOIN 이해하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SELF JOIN과 CROSS JOIN은 여러 테이블 조인 방식 중 독특한 특징을 가진 유형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JOIN의 개념, 사용 방법, 실무에서의 활용 예제를 포함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1. SELF JOIN: 자기 자신과의 조인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마치 두 개의 테이블인 것처럼 사용하여, 자기 자신의 데이터와 조합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계층적 데이터 분석, 비교 작업, 또는 관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른 정보를 가져올 때 활용됩니다.사용법SELF JOIN은 본질적으로 INNER JOIN 또는 LEFT JOIN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같은 테이블을 서로 다른 별칭(Alias)**으로 지정해 사용합니다.SELECT A.employee_.. 2024. 12. 3.
오라클 DB에서 JOIN 개념 이해하기: INNER JOIN과 OUTER JOIN 데이터베이스에서 JOIN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오라클 DB에서는 데이터 통합과 복잡한 질의를 수행할 때 JOIN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JOIN의 개념과 함께 INNER JOIN 및 OUTER JOIN의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고,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예제를 소개하겠습니다.1. JOIN의 기본 개념JOIN은 서로 다른 테이블의 연관된 데이터를 연결하는 SQL 연산입니다.테이블 간의 관계는 **Primary Key(기본 키)**와 **Foreign Key(외래 키)**를 통해 정의됩니다.기본 구문:SELECT 테이블1.컬럼, 테이블2.컬럼FROM 테이블1JOIN 테이블2ON 테이블1.컬럼 = 테이블2.컬럼;2. INNER.. 2024. 12. 3.
오라클 집계 함수: COUNT, SUM, AVG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요약하기 위해 집계 함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오라클(Oracle)에서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집계 함수를 제공합니다. 그중에서도 COUNT, SUM, AVG는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집계 함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각 함수의 특징과 사용법을 살펴보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제를 제시하겠습니다.1. COUNT: 행 개수 계산COUNT 함수는 데이터 집합에서 행의 개수를 계산합니다.특징특정 컬럼 값의 개수 또는 전체 행의 개수를 반환.NULL 값을 제외하거나 포함하여 계산 가능.사용 예시전체 주문 건수,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 수를 파악할 때.예제위 예제는 주문 테이블에서 전체 주문 수, 유효한 주문 수, 특정 상태의 주문 수를.. 2024. 12. 3.
반응형